본문 바로가기

Sessions/DEMA Talks

아르누보(Art Nouveau)와 그 이후의 세계

안녕하세요 DEMA Studio입니다.

 

 

지금 여러분은 무엇을 통해 이 글을 읽고 계신가요? 동기들과 똑같은 맥북 혹은 가족들과 함께 산 갤럭시S4 액정 화면을 통해 보고 계시지는 않은가요? 정형화된 틀로 대량생산되는 이러한 재화들과는 반대되는 배경에서 출발한, 아르누보 예술사조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아르누보는 19후반 산업 혁명 이후, 기계 생산에 의한 제품의 대량 생산에 반대하여 수공예품에 가치를 두는 사회주의 미술공예운동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18세기 말에 시작된 산업혁명은 공업생산과 기계생산에 의한 제품들로, 당시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인간의 생활을 완전히 변화시켰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배경에서 피어난 기계만능주의가 생활 속의 미적 활동을 파괴할 것이라는 우려가 생겨났고, 영국의 공예가이자 사상가인 윌리엄 모리스를 시작으로 공예운동이 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바람을 사회주의 미술공예운동이라 일컬으며, 섬세함이나 정교함이 결여된 당시의 획일화된 대량 생산 제품에 반대하여 가구 집기, , 디자인, 제본, 인쇄 등 응용 미술의 여러 분야에서 수공업이 지니는 아름다움을 회복시키고자 하였고 중세의 직인 제도의 원리를 따라 길드를 형성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이 때의 대표적인 예술사조를 아르누보라 부르며, 2의 르네상스 혹은 모던 에이지, 벨 에포크라고도 합니다. 

 

아르누보는 추상적, 구성적, 상징적이며 꽃과 유기적인 유선형 구도, 선적이고 평면적인 특징을 가집니다. 또한 기하학적 개념과 구도를 충분히 사용하며 샤베트 톤의 연한 파스텔 색조와 퇴색된 듯한 회색 빛 파스텔 톤을 주로 사용합니다. 아르누보 풍은 유행 당시의 리조트 웨어, 화장품 케이스와, 액세서리와 같은 사치품 및 책의 삽화, 가구,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표현되었고 이러한 세련된 미의식은 이후의 공예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습니다.

 

 

- 아르누보 대표 작가 알폰스 무하의 사계

  

 

 

하지만 윌리엄 모리스의 미술공예운동은 예술성과 기능성의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공예에서 과도한 장식과 더불어 기계 능력의 가능성을 무시하였다는 점에서 시대를 역행했다는 평을 피할 수 없었지만, 이후의 아르누보 예술가들은 수공예의 가치만을 고집하는 데에서 벗어나 기계 문화와 테크널러지를 받아들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양식으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기계의 대량 생산에 반대하여 형성된 예술사조임에도 아르누보의 심미적 특성을 전달 및 표현하기 위해 매체의 변화를 수용함으로써 이후에 이어지는 아르데코와 20세기 후반의 포스트모더니즘 건축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었고 현대에까지 그 입지를 지키고 있습니다. 표현의 매체가 달라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가기도 했지만이러한 면이 바로 예술과 기술의 융합이 또 다른 예술을 재생산하는 발산의 좋은 예가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 아르누보에 영향을 받은 스페인의 건축가 안토니오 가우디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

 

 

 (DEMA EYES_한나영)

 

 

 


'Sessions > DEMA Tal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트의 상상력 이론과 경영  (1) 2013.12.10
함께하는 디자인: Design with the other 90% cities  (2) 2013.12.09
적정기술  (0) 2013.06.22
닥터 후와 휴머니즘  (0) 2013.06.22
3D프린터의 원리에 대하여  (0) 2013.06.14